안녕하세요?
SPRINT는 사용자 중심으로 생각합니다.
신사업 전문 플랫폼 개발 파트너입니다.
궁금한 것을 검색해보세요.
MVP 개발로 시작해 성공한 플랫폼들

인스타그램유튜브도 처음은 MVP로 시작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성공할 거라는 자신이 없었고,

내가 좋아하는걸 남들이 좋아한다는 확신은 더더욱 없었기 때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MVP를 통해 시장성을 확인하고 성공한 플랫폼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MVP란?

MVP는 "Minimum Viable Product"의 약자입니다. 

플랫폼의 핵심 기능만을 구현한 제품이며 일반적으로 아이디어의 검증을 위해 만들어지는 제품의 첫 번째 버전입니다.

 

스타트업의 천국이자 수많은 플랫폼이 탄생한 실리콘밸리에서도 본격적인 투자를 위해 MVP를 만들어

시장성과 사용성을 충분히 테스트한 뒤에 작업에 대한 피드백을 기반으로 제품을 개선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MVP는 전담 개발자가 없는 초기 스타트업이 낮은 비용으로 시도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안으로

워드프레스 같은 웹빌더 혹은 재피어 같은 노코드 앱빌더를 이용하거나 플랫폼 개발 전문사와 협업을 통해 진행합니다.

 

이제부터 트위터같이 MVP로 시작해 성공한 플랫폼들을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1. 트위터

일론 머스크가 인수한 트위터는 잭 도시, 비즈 스톤, 에반 윌리엄스, 노아 글래스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친구들을 위한 문자 메세지 시스템으로 출발한 트위터는,

친구들의 피드백을 통해 제품을 개선하면서 현재는 실시간 정보 공유 및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으로 진화하였습니다.

 

초기 '트윗 작성'이라는 핵심 기능만을 가지고 출발한 MVP를 통해 개선을 거듭해온 트위터

현재는 '실시간'이라는 가치를 강조하면서 다음과 같은 기능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트윗 작성 : 280자로 제한된 짧은 메시지로, 사용자는 텍스트, 사진, 동영상, 링크 등 다양한 형식의 콘텐츠를 포함합니다.

- 팔로우와 팔로워: 트위터는 사용자 간의 연결을 위해 팔로우와 팔로워라는 개념을 제공합니다.

- 해시태그 : "#" 기호를 사용하여 특정 주제나 키워드를 표시하는 기능으로 콘텐츠를 분류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인스타그램

인스타그램 설립자인 케빈 시스트롬(Kevin Systrom) 과 마이크 크리거(Michel Krieger)는 위치 기반 서비스 기업인 Burbn에서 일을하면서 이용자들이 사진과 필터 기능에 집중한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그렇게 이들은 '위치 기반 사진 공유'라는 간단한 아이디어로 인스타그램을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인스타그램의 핵심 기능을 다음 두 가지로 꼽으며 시장성과 사용성을 끝없이 개선하며

현재 iOS와 Android에서 가장 순위가 높은 사진 및 동영상 공유 플랫폼으로 거듭날 수 있었습니다.

 

- 사진 공유 플랫폼 : 사용자들이 사진을 촬영하고 공유

- 필터 및 편집 기능: 다양한 필터와 편집 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들의 참여성 증대

 

3. 유튜브

유튜브는 채드 헐리(Chad Hurley), 스티브 첸(Steve Chen), 자웨드 카림(Jawed Karim)에 의해 2005년 설립되었습니다.

그리고 유튜브 또한 인스타그램처럼 '인터넷에 비디오를 공유한다'라는 간단한 아이디어에서 출발하였습니다.

 

이들도 처음에 MVP를 친구와 공유하면서 사용성을 개선해왔고,

점점 사람들이 유튜브를 통해 비디오를 공유하는 것을 확인하며 시장성을 확인하였습니다.


그리고 현재는 동영상을 업로드하는 것만이 아닌 구독과 댓글,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실시간 소통하는

동영상 소셜 플랫폼으로 거듭나면서 전세계적으로 성공한 비즈니스 중에 하나가 되었습니다.

 

4. 드롭박스

Dropbox는 전 세계적으로 4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로 2007년 미국의 컴퓨터 프로그래머 드류 휴스턴(Andrew W. Houston)이 설립해 2008년 출범한 서비스입니다.

 

그는 실제 사용을 위한 제품을 디자인해야 하는 '혁신 디자인'이라는 수업을 들으면서,

일반 사람들도 인터넷을 통해 '대용량 파일을 쉽고 안전하게 공유'하는 방법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아이디어를 간단히 테스트할 수 있게 프로그래밍 언어인 Pyton과 Django를 사용해 MVP를 만들었습니다.

그렇게 그는 이 MVP를 통해 친구 및 가족들의 사용성 인터뷰를 진행하면서 제품을 출시하기 전 아이디어에 대한 확신을 얻었다고 합니다.

 

5. 에어비앤비

에어비앤비는 2008년에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브라이언 체스키(Brian Chesky), 조게 베드로프(Joe Gebbia), 나닌 샹(Nathan Blecharczyk)이라는 3명의 창업자들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이들은 대학 동기였는데 캘리포니아에서 개최되는 이벤트 기간에

주변 호텔이 예약하기 어렵고 비싸다는 문제를 직접 경험하면서 에어비앤비를 구상했습니다.

 

그렇게 그들은 '자신들이 가진 집을 이용해 이벤트 참가자들에게 숙박 공간을 제공'하는 아이디어를 얻었고,

2007년 8월 "에어베드 앤 브렉퍼스트"라는 MVP를 출시하면서 '에어 매트리스'를 제공하는 숙박 서비스를 판매하였습니다.

 

에어비앤비는 초기부터 현재까지 '사용자와 호스트 간의 연결', '예약 요청과 수락', '결제 기능'을 중심으로 플랫폼 개선하면서 현재는 체험 상품까지 제공하는 글로벌 플랫폼으로 거듭날 수 있었습니다.

 

 

MVP로 확인할 수 있는 것

비즈니스는 성공까지 수많은 시행착오를 동반합니다.


성공에 시행착오는 필수라고 하지만 이 과정을 단축시키는 방법 또한 존재합니다.
그건 아이디어에 대한 끝없는 검증이 가능한 MVP이며 이게 스타트업의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콘텐츠를 읽어주신 여러분들의 성공을 기도하며,

스타트업 MVP 전문 개발사 스프린트는 다음에 더 유익한 콘텐츠로 돌아오겠습니다.

 

 

 

 

23.06.28
스타트업 전문 플랫폼 개발 파트너 SPRINT를 소개합니다. (2/4)
당신에게 스프린트가 꼭 필요한 이유

지금 여러분은 웹사이트든 플랫폼을 제작해야되는 상황일겁니다. 머릿속에서 대략적으로 플랫폼의 '형태' 정도는 잡혀있는 정도겠네요. 그렇다면 아이디어만 있거나, 제작업체에게 보내줄 기획안을 간단하게 정리한 정도 이실 것 같습니다.




# 기획안이 없다구요? 당연한거 아닌가요?


 모든 회사엔 기획자가, 디자이너가, 개발자가 상주하고 있지않습니다. 그렇기에 처음부터 완벽한 기획안이란건 존재하는게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저희는 클라이언트가 기획안을 작성하느라 시간을 낭비하는걸 가장 싫어합니다. 


 만약 본인의 기획안이 100% 그대로 구현되길 생각하며 작성하는 분이 계신가요?

저희가 만드는 기획안조차 내부 컨펌을 통과하지 못해 엎어지는게 부지기수입니다. 그렇기에 클라이언트가 만들어주시는 기획안또한 저희가 다시한번 재작업을 하게되며, 저희를 거치고 나면 보통 기존 기획안에서 '타겟'과 '목표'밖에 남지 않습니다.


 각자 자기가 잘하는걸 하면됩니다. 클라이언트는 목표와 타겟, 그리고 비즈니스 모델을 세우시는데 집중해주세요.

서비스 기획은 전문가인 우리에게 맡겨두시구요.




# 기획? 디자인? 개발? 가장 중요한건 '목표'


 SPRINT가 프로젝트를 임하며 가장 중요하게, 그리고 굉장히 집요하게 물고늘어지는 건 단 하나입니다. 

이 플랫폼으로 달성하시려는 '목표'가 정확하게 무엇인지, '목표'달성을 위해선 어느 타겟에 접근해야할 지, 이 플랫폼의 수익모델은 어떤 형태를 가지고 있는지.


 물론 기획도 중요하고, 디자인도 중요하고, 개발도 중요하죠. 다만 목표가 중심이 되지않은, 즉 '방향성'이 잘못된다면 아무리 잘만들어져도 그건 실패작입니다. 그렇기에 목표의 설정부터 지켜나가는 모든 과정이 중요합니다.




# 저희의 팀장이 되어주세요.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는 분이라면 누구나 나와 마음이 잘 통하는 직원, 실력있는 작업자를 필요로 하실겁니다. 이런 사람들만 있다면 어떤 장애물이라도 극복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이 들겠죠.


 저희는 항상 개발'사'가 아닌 개발'파트너'가 되겠다고 합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일어날 모든 이슈들을 같이 극복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드리고 싶습니다. 


저희는 '당신 사업의 첫번째 팀'으로써, 가진 모든 역량을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프로젝트를 이끌 SPRINT입니다.


23.06.16
스타트업 전문 플랫폼 개발 파트너 SPRINT를 소개합니다.
SI vs 웹에이전시 vs SPRINT

SI? 웹에이전시?


어디선가 들어봤지만 정확히 어떤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지 알고 계시는분은 많이 없죠. 그래서 SI와 웹에이전시를 SPRINT와 비교를 해보려합니다. 빠른 이해를 돕기위해 먼저 SI와 웹에이전시의 개념을 확실히 알고 넘어가보죠.




# SI(System Integrator) / 삼성 SDS, LG CNS, SK C&C 등



직역하자면, 시스템(구조)를 통합한다는 뜻이 됩니다.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이들은 조직 내부를 전산화하여 통합시키며, 이렇게 만들어진 시스템을 유지보수하는 일을 주로 합니다. 아무래도 조직내부 전산의 통합이 기본목적이기에 대부분 클라이언트들이 통합이 필요할 정도의 내부전산망을 가진, 중견 이상급의 기업들이고 그에 따라 견적도 상대적으로 상당히 높은 편입니다.


의도를 생각한다면 당연합니다. 사용자가 이미 확보되어있으니 플랫폼이 망할 우려도 없기에, 비용이 좀 들더라도 내부 시스템을 재정비해 더 발전적인 방향으로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기업차원에선 투자를 하지 않을 이유가 없죠.


많이 알려진 SI기업으론 삼성 SDS, LG CNS, SK C&C 등이 있습니다. 이들의 프로젝트 수주금액은 크게는 100억 이상이니, 어느정도의 프로젝트인지 대충 아시겠죠?



# 웹 에이전시 / 홈페이지 제작업체, 키워드마케팅 업체 등



SI가 조직 내의 정보흐름을 디지털화 한다면, 웹에이전시는 조직과 외부와의 접점을 디지털화 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온라인 비즈니스라고 불리는 홈페이지, 온라인마케팅과 같은 영역들이 웹에이전시의 주 업무입니다. 그렇다보니 웹에이전시의 클라이이언트는 대기업부터 소상공인까지 다양하여, SI와 수치적으로만 비교를 해본다면 상대적으로 견적이 높지 않습니다. 


하지만 견적이 높지 않다는것은 클라이언트가 대기업이 아닌 소상공인이라서가 아닙니다. 이는 웹에이전시가 제작하는 플랫폼의 목적때문이죠. 비즈니스란 적은 투자로 많은 수익을 내는게 기본원리니까요.


심지어 비즈니스 플랫폼은 '완성도' 이외에도 온라인 비즈니스가 성공하기위해선 고려해야할 내,외부적요인이 너무 많습니다. 그래서 대형 플랫폼이 아닌이상, 무턱대고 많은 금액을 투자할 순 없겠죠. 그렇기에 상대적으로 SI업체의 프로젝트보다 웹에이전시의 프로젝트들이 견적이 상대적으로 낮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50만원으로 홈페이지 만들기','무료 홈페이지 제작'과 같이 광고하는 업체들이 웹에이전시라고 볼 수 있습니다.




SI vs 웹에이전시 vs SPRINT



하지만 요즘은 SI와 웹에이전시의 경계가 점점 허물어지고 있는 듯 합니다. 80년대부터 시작된 디지털붐은 모든 업계의 온라인 비즈니스를 성장시켜 이젠 IT플랫폼을 통한 온라인 비즈니스가 상당히 전문화되가고 있습니다. 심지어 2020년 1월 시작된 코로나 바이러스가 많은 기업들의 온라인 플랫폼 출시에 불을 지폈죠.


그래서 웹에이전시의 영역이던 회사소개용 홈페이지가 비즈니스를 위한 온라인 플랫폼으로 변화하였고,  플랫폼들의 고도화는 점점 높은 개발능력을 요구하였습니다. 웹에이전시 업계 또한 변화에 대응하기위해 그에 맞는 높은 등급의 능력을 갖춰야 했죠. 하지만 기존의 디자인&퍼블리싱 위주의 웹에이전시들이 따라가기는 쉽지 않았고, 클라이언트들은 비즈니스 플랫폼 개발을 위해 SI업체를 찾기에 이르렀습니다.


하지만 SI업체는 플랫폼의 완성도를 위해 아주 작은 버튼하나까지 검토의 검토를 거듭하며 UX를 고민할테고, 이런 작업이 그대로 견적으로 드러났을 겁니다. 결국은 SI업체와도 컨택은 어려웠겠죠.






SPRINT는 그런분들을 위해 존재합니다.


'SI프로젝트'도 '웹에이전시의 프로젝트'도 아닌 정확하게는, '온라인 플랫폼'으로 비즈니스를 계획중인 당신을 위해서요.



저희는 웹에이전시와 컨설팅업체 출신의 기획자들과 마케터, SI출신의 개발자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물론 디자인 에이전시 출신의 디자이너도 있습니다. 이 팀이 당신의 온라인 비즈니스만을 위해 움직일겁니다. 


저희가 일하는 방식도 많이 다르지 않습니다. 플랫폼에 중요한 기능들은 시간이 얼마나 걸리더라도 검토해야하죠. 다만, 온라인 비즈니스가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 지금 가장 중요한게 무엇인지를 알려드릴 뿐입니다. 지금은 목적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선택과 집중을 해야할 때니까요.


비즈니스는 해보기전엔 아무도 모르는 겁니다. 그게 시장반응을 빠르게 확인해야하는 이유이며, 확인했다면 그에 맞춰 대응해야합니다. 정교한 플랫폼 제작에만 몰두하다 정작 오픈을 못하는 바보같은 행동을 하기엔 당신의 시간과 돈은 너무 아까우니까요.


SPRINT가 당신의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들어드립니다.


23.06.16
스타트업 전문 플랫폼 개발 파트너 SPRINT를 소개합니다. (1/4)
"SPRINT가 도대체 무슨뜻이죠?"

 저희 SPRINT의 이름은 Google의 7명짜리 하나의 팀에서 시작되었습니다. 


 Google Ventures 엔 SPRINT라는 팀이 존재하는데,  7명의 팀원이 열린 토론(브레인스토밍)을 통해 프로토타입을 제작하고, 고객과 함께 아이디어를 테스트하여 중요한 문제들에 대한 답을 찾는 독특한 5일짜리 과정이죠. 구글 벤쳐스는 스프린트를 통해 G메일과 Chrome 등을 탄생시켰고 이어서 페이스북과 우버, 블루보틀, 슬랙, 에어비앤비 등을 런칭함으로써 성공적으로 효과가 입증되었습니다.






 <스프린트>의 저자이자 Google의 수석 디자이너인 제이크 냅은 스프린트를 '최소의 시간으로 최상의 결과를 얻도록 조정된 최적의 프로세스'라고 극찬하였으며, 실리콘밸리에선 유행처럼 스프린트를 혁신적인 회의방식으로 도입하기도 할만큼 성공적인 '문제해결 프로세스'로 자리잡았습니다.




# 한국에선 외면당한 프로세스



 Google Ventures의 스타트업 프로세스에 대해 한국에 번역본이 출간되며, 본격적으로 소개되고 스타트업들을 대상으로 워크샵이 실시되었습니다. 첫 런칭때부터 매우 큰 반응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았죠.


 그러나 몇 개월 만에 구글 스프린트는 한국에서 사라졌습니다.

이유는 스프린트가 한국 실정에 맞지 않고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많다는 것이었습니다.


 사실 한국에서만 성공하지못한 혁신기법이나 방법론은 꽤 많습니다. 식스시그마, 워크아웃 타운미팅, 트리즈, TPS 등 해외에선 자리잡는데 성공했고, 지금도 활용도가 높은 방법론들이 현재 한국에선 자취를 감추었죠. 왜 왠만한 혁신 방법론은 한국인들에게 절대로 먹히지도 않고, 범접하기도 어려운 난공불락일지..


 저희는 이런 의문에서부터 시작하였습니다.




# 'Start'-up 이라서.



 먼저 많은 스타트업들에게 왜 스프린트가 적절치 못할지 의견을 물어보았고, 종합을 하니 단 하나였습니다.


" 스타트업은 스프린트가 이루어질 수 있는 팀을 짜는것 자체가 불가하다."


 충분히 맞는 이야기 였습니다. 스프린트 프로세스의 근간은 각 자신의 분야에서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팀장급들이 모여서 이루어지는 것인데, 이제 발돋움하는 스타트업들은 그런 팀장급을 1명도 아니고 5명씩 보유하고 있다는건 어려운 일이었죠.


 그렇다면 중견,대기업에선 사용하면 되지 않을까요?


 이 글을 보고계신 많은 분들이 경험하셨듯, 중견기업 이상급에서 어떠한 프로세스를 변경하기란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 더군다나 결정적인 목표를 위한 의사결정 시스템을 변경한다는 건 아주 많은 구조적 변화와 시간을 필요로 합니다.


 도입자체가 모험인 스프린트 프로세스를 위해 더 많은 투자는 중견,대기업에선 '합리적인' 투자라고 보긴 어려울겁니다.

또한 한국은 모험에 대해 굉장히 방어적인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IMF를 거쳐오며 기업은 기존과 달리 하나의 금융자산화가 되어, 기업의 최고 목표는 주주의 이익에 편향되도록 변해오며 모험적 투자엔 방어적으로 변해왔습니다.




# 당신 사업의 스프린트 팀이 되어드립니다.




 많은 리서치를 통해 스프린트는 '스타트업'에게 알맞는 프로세스이나, 정작 '한국형 스타트업 기업'은 여러 이슈로 사용하기가 어려워서 실리콘밸리를 강타했던 '스프린트 프로세스'가 한국에서 자리잡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 MVP 타입 개발방식을 보여주는 이미지 >



 그래서 저희는 스타트업에게 'TF(Task Force)팀'이 되어드리기로 했습니다.

사업주는 아이디어만 제공하면 스프린트 프로세스를 저희가 운용하여, Needs를 충족하는 MVP타입(Minimally Viable Product : 시장가능성 확인을 위한 제품)을 생성합니다.


 첫 스타트업에 많은 인력과 금액을 들이지 않고, 원하는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스프린트 프로세스를 통해 많은 기업들과 프로젝트를 성공시켜왔습니다.


 당신의 아이디어를 보여주세요. 그리고 저희와 함께 하시면 됩니다.





23.06.16
(08591)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30 에이스하이앤드타워 10차 14F
© 스프린트 All rights reserved
Contact
sprint@go-sprint.co.kr
Tel
1833-8361
윈도우 타이틀
rsrv_cancel
삭제하기
확인
signup_vehicle_later
signup_vehicle_regist
취소
확인
Toast Title
Toast Contents
수정
삭제